○ 윤폐자 오미 사폐자 상백
폐를 부드럽게 하는 것은 오미자요, 사하는 것은 상백피라.
폐를 부드럽게 한다는 것은 진액이 생기니까 윤폐가 되고 수렴작용.
즉, 폐가 확장된 것을 수렴이 되서 단단히 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또 책을 보면 사백산이라는 게 있어요. 白은 '흰 백자'이니까 폐가 아닌가?
폐를 사하는 약이다.
상백피·지골피(2錢), 감초 1전으로 되어 있어요.
상백피가 폐기를 훌터 내는 약이다 이렇게 보는데 상백피를 소아 기침약에 쓸 때
폐의 어느 수독을(담이지 말하자면) 무지하게 빼고 훌터내려서 밀자를 하죠.
그래서 한독한 기운을 줄여서 쓴다.
그전에 내가 젊어서 신장염을 몹시 앓았었는데 그래서 수기를 많이 빼려고
상백피를 삶아 가지고 그 물에다가 팥죽을 쑤어 먹었어요.
그랬는데 물을 잘 빠지는데 그것만 먹으면 몸이 자리자리해요 아주 기운이 탁 녹아진다고.
그럴 때 설탕물을 따뜻하게 해서 마시면 싹 가시죠. 그러니까 밀자한다는 것이 좋다는 얘기여.
꿀·설탕·甘草는 중화작용을 하고 못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는 거여.
상백피가 물을 잘 끌어내려 부종을 치료한다. 대개 수독이 처리가 안되서 기침할 때 쓰면 된다.
지골피는 골증열에 쓰는 거야. 뼈속에 열이 들어서 시고 후끈후끈하고 아플 때 쓰는거다 라고 보면 되겠죠.
○ 윤폐자 맥문천문가용 염폐자 오매오배위최
대개 맥문동은 청심윤폐한다. 마음을 심장을 맑혀주고 폐를 부드럽게 해준다.
먹어보면 맛이 달고 끈끈해요.
그래서 문동을 거심하면 손에 달라 붙어서 어떻게 할 수 없어요.
그래 진액이 많다는 말야. 진액이 많으니까 청심하고 윤폐하는 거라.
천문동은 맥문동보다 더 윤폐시키고 더 찬약이야. 천문동이 맥문동의 형님이 되는 셈이지.
이문동이 폐를 부드럽게 하는데는 이 이상 더 좋은 것이 없으나 성미가 차고 부드럽게 하니까.
소화가 덜 될 것 아냐.
그래서 소화가 덜되는 사람이 먹으면 안좋고 만약 설사하는 사람이 이문동을 먹었다 하면 녹아.
그러니까 맥문동의 약성부 조를 보면『장한활설자 불가복』이라 했어.
장이 허한해서 설사하는 사람에게 먹이면 약도 없다고 그랬어요. 그러나 열설이라면 괜찮겠죠.
그러니까 이문동을 줄 때는 반드시 변의 상태를 물어봐.
물어보는 것보다 더 좋은게 없어. 괜히 아는 척하지 말고.
"뒤가 묽고 소화가 안되고 설사가 나요"그러면 이문동을 넣지 말아야지.
맹선생님께서 양인이라.
그런데 맥문동을 먹으면 괜찮은데 천문동을 먹으면 배가 싸늘히 아프면서 변이 아주 묽게 나가는 것을 경험하셨다.
오매나 오미자나 오배자나 이런 것은 전부 약이 수렴성 산성이 있어요.
시고 떫어요. 떫은藥은 수렴작용이 있죠.
그러니까 폐가 확장이 된다든지 늘어질 때 이런 약을 쓰면 폐가 수염이 되는 모양입니다.
○ 태양양금 폐하가부
가까운 놈은 가까운 놈끼리 합해져 간담과 비위,
멀리있는 놈은 멀리있는 놈끼리 합해져 심소장·폐대장 이렇게 합이 되는 거야.
가령 치질이 났다.
대장경이니까 폐경에다 침을 놓으면 낫는거라.
이상한 얘기지만 결국은 한방의 묘미는 거기에 있는 거라 생각이 되요.
○ 보용 속각 육구 연자 오배 사용 망초 지실 대황 빈랑
앵속각·육두구·연자육·오배자는 거둬 먹는 약 즉 설사에 쓰는 약이고 앵속각·육두구는 설사를 멎게 하죠.
연자육은 비위의 습을 거둬 먹는거라.
오배자가 수렴작용(거습)을 많이 하죠.
그러면 대장이라는 것은 속에다 잔뜩 내용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힘을 쓰는 것이거든.
그래서 뱃힘이 있어야 산다고 그러잖아.
우리가 복진할때 배와 불두덩이가 올라오고 팅팅한 사람은 실한 사람이라고 보고.
그러나 등하고 달라 붙어서 대동맥만 된다고
이것은 속에 내용물이 하나도 없으니까 이것은 보해야지 사하면 안된단 말야.
설사하면 맥을 못추니까 대장 보라는 것은 결국 설사 막는거죠.
그렇지 않아요.
앉아 있어도 떡 펴고 있는 사람은 뱃힘이 있는 사람이니까 튼튼한 사람이고
앉은 상태가 꼬부리고 있는 사람은 벌써 그 사람은 시원치 않는 사람이야.
배가 퉁퉁한 사람은 꾸부리고 앉으려 해도 불편하고 갑갑해서 그렇게 앉을 수 없어.
허리를 펴고 거만하게 앉지만 뱃힘이 없는 사람은 거만하에 앉으려 해도 무의식중에 꾸부려진다.
그러니까 배에 내용물이 든든하게 들어야 된다는 것.
노인네 설사하면 큰일나죠.
대황 망초 지실 빈랑하면 승기탕재료 아니예요?
그러니 대황 망초 지실 후박하면 대승기탕재료 아니예요?
그러니까 이것은 뱃속에 내용물 많이 들어 애를 쓸 때 훌터내려 대통에 물담듯 하는데 그놈이 안내려가고 배기나.
그러니까 미친놈 약쓰는게 뭐 쓰는 줄 알어?
당귀승기탕 같은 것 대황 망초 5전씩 먹이면 그냥 담을 뛰어 넘고 지붕위에 올라가고 도끼로 사람을 때리려
야단법썩을 떨어도 묶어놓고 먹이면 대통에 물쏟듯하면 그 증상이 다 어디로 가고 정신이 온다구.
○ 온자 인삼건강 여육계오수 양자 조금괴화 급황련현삼
대장을 뜨뜻하게 하려면 아랫배를 뜨뜻하게 해주면 될 것 아니예요.
그러니까 인삼은 보기를 하니까 기운이 생길 것이고
건강은 배를 뜨뜻하게 하나 삼과 강은 어디까지나 위약이지 장약은 아니예요.
그렇죠? 건강은 배의 어느 수독을 치면서 뜨뜻하게 하는 약이다. 그러나 장으로 가야 하니까.
육계하면 중경방에 팔미가 있잖아. 육미에 육계·부자가 들어 있는..
그러나 원래는 팔미지황원을 만들어서 써보다가 속이 더운 사람은 함부로 쓸 수 없으니까
육계·부자를 제하고 육미지황원을 썼지.
그러나 지금은 육미를 많이 쓰니까 육계·부자를 넣으면 팔미라고 하지만 사실은 팔미에서 육미가 되는 거라.
그러면 팔미라는게 뭐냐? 하초 정력을 튼튼하게 하는 거라.
팔미의 기본정신이 육계·부자거든.
그러니까 육계는 (좌신 우명문)신장으로 인화귀원한다(명문화를 도와주는 거라).
수를 끌고서 그 근본으로 들어간다는 말이야.
오수유는 매운 약이니까 더운데.. 더운 약은 대개 다 위로 올라가는 작용이 있죠.
그런데 이 오수유만은 유독 하강하는 작용을 한단 말야. 왜냐하면 쓰기가 비할 데 없이 쓰거든.
금계랍은 명함도 못내놔요.
그 쓴 가운데 아래로 끌고 내려가요. 쓰면서도 매워 그래서 하복을 데우는데 오수유를 쓰는 거라.
그러니까 인삼·건강에도 오수유·육계를 넣으면 아랫배로 가는 거야.
약을 턱 펴봤을 때 오수유·육계가 들어 있으면
아 자궁을.. 대장을.. 아랫배를 데울려고 하는구나 라고 아시면 되죠.
조금은 황금의 어린 놈. 속이 비어있는 놈은 "조금"이라 하고 오래된 놈.
속이 비고 거죽만 남아있는 놈은 편금이라 그래요. 편금은 약력이 세고,
조금은 약력이 약하고 그런 겁니다. 그러니까 조금을 황금으로 보시면 돼.
황금·괴화(홰나무꽃. 장독을 치는 거라.
독은 의례 열을 부수적으로 데리고 다니기 마련이지. 물론 한독도 있지만..
장에 어느 열독이 있어서 출혈한다던지 할 때 괴화를 쓰는 거야.
괴화는 독을 치는 거니까 어딘가 살균도 된다. 그러니까 괴화·황금은 찬약이라.
황련은 이질을 앓을 때 주로 쓰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심소장의 열을 주로 내리는 약이라.
현삼은 신장열을 내려준다. 그래서 황련·현삼이 들어가면 대장이 서늘해진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 인입차경 백지승마
폐·대장으로 끌고 들어가는 약은 백지·승마라.
○ 청목가완 음간양담
간기는 발산.. 내뺄려는 소지가 근본적으로 포함이 되어 있어.
그래서 요놈은 발산이 되는 거니까 급한 놈이지. 그러니까 완하게 해줘야 되죠.
○ 간보목과 사시호 담보당귀 사청피
간장은 보할려면 木과(신맛이 있고 수렴작용이 있고 근육을 완해하는 작용이 있고 그렇잖아요.
그러니까 이놈이 거둬먹는 작용이 있어서 보가 될 것이고) 시호는 발산작용이 있고 상승작용이 있어
그러니까 氣가 까부러질 때 순기를 시켜주고 또 어느 독소가 있을 때 내보내는 약이다.
소양경병하면 시호·황금을 쓰기 마련아냐?
그러니까 시호는 간기가 ... 할 때 사하는 약이다.
당귀는 보혈하는 약이니까 간담경 약이다.
청피는 순기가 되는 약 아니예요? 그런데 옆구리가 결린다 가슴이 결린다 하면 청피를 쓰고,
대개 가슴에서부터 위로 소통이 안될 때는 진피를 쓰죠. 진피는 上下, 청피는 좌우로 기를 소통시켜준다.
간담경이 옆구리에 있잖아.
그러니까 청피가 간담 기운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으니까 사청피라 얘기한 것 같습니다.
○ 간지량 감국이건강 온 담지량 황금이반하 온
감국은 머리가 띵하고(바람머리 앓는다고 하지) 눈이 침침하고 할 때 쓰는데 감국이란 藥은
간장을 맑혀주는 작용을 해. 우리가 눈은 肝에 속한다 그러죠. 그러니까 눈이 침침할 때 감
국 같은 것을 구기자하고 쌍화탕같은데 넣어서 먹으면 눈이 건강해지고 밝아진다고 보죠.
옛날엔 감국으로 벼개속을 했지요. 방향성이 있어서 정신이 맑아지고 그래서 나는 감국을
정신을 맑혀주는 약에 많이 이용을 합니다.
온담탕재료가 반하·지실 그런거예요. 반하는 치담이 되는 약이지만 온성이 있죠. 자극성이
있는 약이예요. 그래서 온담이 된다고 한 것 같습니다.
○ 인경시호 양경하수
시호를 겸해서 인경약으로 쓰는데 간담경 두 경이 무엇 다를 게 있느냐?
간담경으로 가는 약은 시호를 넣으면 된다.
○ 신자 유기보이무기사
신장은 보는 있어도 사는 없다.
○ 방광 상유류이하무규
오장육부가 보사가 다 있지만 오직 신 하나만은 사가 안된다.
신장이 우리 인체에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봐야죠.
왜 그러냐?... 인체의 중량을 유지하고 있는 데가 허리야.
그렇죠? 지주역할을 하죠.
그것을 하루 이틀도 아니고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니 그러니까 든힘이 들면 허리가 아프기 마련이야.
그러니까 허리는 힘이 얼마든지 있어도 좋단말야.
70먹은 사람이 허리 아픈 줄 모른다고 하면 정력이 좋은 거니까 장가들어도 되고
자네들 20代에 아휴 허리가 아파요 하면 딸을 줄 사람이 없다구.
그런 말이 있잖아.
사위감을 고를 때 얼굴만 보는게 아니라 변소에 살며시 가서 엿듣는데 그래서 오줌나가는 소리가 쫘하고 나가면
아! 됐어하고 오줌 누는 소리가 찔찔찔 거리면 아 그거 틀렸어 한데.
그 얘기가 결국 이거야. 신장의 두 개가 허리에 버티는 힘을 공급하는 거라 보죠.
그런데 만약에 사했다고 하면 어떡할꺼야. 그러니까 신은 절대 보만 하지 사하면 안된다구.
젊은이들이 수음을 해서 정력을 빼내서 신진대사가 되야 된다나. 그게 어디 그래요.
여기 보는 있어도 사는 없다고 그랬잖아.
그런데 돼 사해. 그래서 손장난 하는 데서 폐도 나빠질 수 있고 신경쇠약도 될 수 있고 하죠.
그래서 신기의 정력은 누구가 막론하고 남용해서는 안된다구.
방광은 위에서 흘러서 내려가는 건데 아래는 구멍이 없다.
현대해부학 상으로 봐서는 방광은 순전히 오줌만 내보내는 기관이죠.
그렇죠?
옛날책에는 여기서 진액을 만든다고 그랬어.
여기에 오줌이 될 수 있는 수가 들어오면 이 속에서 화해서 진액은 진액대로 몸으로 가고
부산물이 증발되서 소변은 소변대로 나온다.
방광은 수도지관이다 해서 '영양을 저장하는 기관이다' 라고 되어 있고, 소장열이 있으면 소변이 불리하다 했어요.
소장은 우리가 볼 때 영양을 흡수하는 기관인데 소장도 배뇨기관에 협조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되죠.
이런 것은 여러분이 연구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옛날책에 보며 위로 흘러서 내려가는 거지.
애는 구멍이 없다고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 여보신수 의용녹용숙하 욕보방광 기사회향오수
소회향은 진통작용도 하고 덥히는 작용을 하고,
오수유는 아래로 아래로 내려가면서 덥히는 작용을 해서 대개 이런 약이 산증에 많이 쓰죠.
그러니까 하복을 데우는 데는 소회향·오수유 같이 좋은 약이 없나봐요. 그러니 어찌 버리겠어요.
○ 청신수지백 사방광복사(저령 택사)
신장의 火가 생겼을 때 지모·황백을 쓰는 거니까
대개 젊은 사람 약을 지으러 노인네가 오시면 "쌍화탕에 뭐 넣어서 주슈"한다.
남녀가 내외관계가 있어 열이 올 때는 먼저 쌍화탕을 먹이는거라.
쌍화탕을 먹을 때 지모와 황백을 넣어 준다고.
지모·황백 두가지가 자신환이라는 처방을 만들죠.
신장을 불어넣어 준다고 찬약인데 어떡해? 열이 있으면 진액이 날라가죠.
열이 없어지면 진액이 저절로 생기죠. 그러기에 지모·황백은 신장화를 내리는데 최고이다.
방광에 열이 있다든지 오줌이 안나가면 오령산(백출 복령 저령 택사 육계), 그러니까 이것은 강력한 이뇨제이다.
○ 인신경자 독활 도방광자 고본
신경으로 인경하는 것은 독활이고, 방광으로 인도하는 것은 고본이다.
○ 당귀홍화 보심경 사이황련 온이곽향 모려석곡 보소장 사이금사 온이소회
당귀는 활혈하여 피를 잘 순환시키는 약이여서 심장에 가서 피순환을 잘 시켜줘서 보가 된다고 보고,
홍화라는 약은 조금 넣으면 생혈이 되고 많이 넣으면 파혈이 된다고 해요.
홍화가 파혈약이라고 하지만 藥이 빨게 그리고 꽃이고 하니까 위로 올라가지. 그러니까 혈분으로 가는 약이야.
심장에 열이 있을 때 사심탕(황금, 황련, 대황)을 쓰는데 황련이 기본이야.
그래서 심장을 사하는데는 황련 또 곽향은 방향성이 있어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고 또
이것이 구역을 그치고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는 약이라. 그러니까 심장도 따뜻해지지 않나 그렇게 봐야겠죠.
석곡은 하초의 근골을 튼튼히 하는 약이야.
그러니까 다리에 힘이 없어 잘 걷지 못하는 사람은 석곡을 많이 넣어서 쓰면 좋다 그러죠.
모려분은 정력을 수렴한다.
소장이 허해서 정력을 저장하지 못할 때는 모려분을 써서 정력을 고정시키니 보가 되는 거죠.
석곡은 골수를 보하는 약이고 해금사는 강력한 이뇨제야.
그러니까 약이라는 것은 글짜에도 큰 의미가 있어요.
말하자면 쇠나 돌도 바닷물을 연하게 하는 작용을 하죠.
돌이나 쇠도 연하게 해서 녹여 줄수 있는 약이야. 그러니까 이 약이 강력한 이뇨제가 되는 것입니다.
○ 심경량자 맥문우황 소장량자 통초천화
심소장에 열이 있으면 소변이 불리해지죠.
그러니까 해금사를 먹어서 열이 확 내려가면 소장이 좋아질 것 아냐. 그러니까 소장을 사한다 하는 것 같습니다.
회향은 하복을 데우는 약이니까. 소장도 방광도 데우겠죠.
○ 심경량자 맥문우황 소장량자 통초천화
심장이 열이 있으면 맥문동이 청심하고 윤폐.
우황은 소아들 간기에도 쓰고, 심장열이 많아서 놀래는 경우에 다용하니까.
우황이라는 것이 강력한 해열제야. 그러니까 심장도 서늘해진다고 봐야하고..
심장에 열이 있다면 통하는 초이니까 물뽑는 약이다 봐야겠죠.
그러니까 열이 있다면 물을 뽑고, 심소장에 열이 있다면 목이 말라.
그러면 천화분.
갈증에는 천화분·천문동·오미자 그보다 더 좋은게 뭐 있나.
천화분은 갈증에 아주 주관이 되는 약이다. 그래서 소장열에 통초와 천화분을 쓴다는 얘기라.
○ 개심규 익총명 창포복신 도소장 이소변 택사목통
심규를 열어줘서 총명을 더해주는 것은 창포 복신.
소장을 인도해서 소변을 잘나게 하는 것이 목통 택사.
심소장에 열이 있을 대 택사 목통 같은 것을 쓰면 열이 잘 내린다. 소변을 잘 본다.
글자자체로 봐서는 심규를 심장 구멍이라는 얘기아냐?
옛날에는 심규를 담이 막았어. 옛날에는 심장하고 정신신경을 같이 봤고,
요새는 정신신경은 뇌에서 오는 것이고 심장은 피순환을 주관한다고 하쟎아.
그러나 작용면에 있어서는 같이 보는게 틀림이 없는 것 같아요.
심규라 하면 어느 신경의 통로라고 봐야 할 거예요. 정신신경이 갈 수 있는 어느 통로로 봐야 될꺼야.
그러니까 "심규"를 열어준다는 것은 정신신경이 잘 갈 수 있는 어느 길을 열어준다 그런 얘기야.
그러면 정신이 맑아질 것 아냐. 정신이 맑아지면 총명해 질 것이고.
요새 애들이 과외공부하는데 애를 쓰는데 무엇을 줬으면 좋겠소 하면
피로푸는 약 쌍화탕 같은거와 사물탕 같은 약에다 원지·석창포·백복신 이런 약 넣어주면 좋겠죠.
그러면 정신도 좋아지고 피로도 풀리고 좋지 않겠어.
그러니까 정신신경에 작용하는 약에는 원지 석창포 백복신 등이 늘 들어간다.
○ 정심기원지 진심신주사
경면 주사는 어딘가 강력한 치담제인데 아래로 내려가서 어딘가 상기하는 담을 아래로 내려보내는 힘이 강한 모양이야.
그래서 정신병에 심장이 뛰고 위로 상기가 되고 할 때 주사가 아니면 안된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심기를 안정시키는데 좋다.
원지 석창포 백복신 주사 등은 심장약에 불가분의 약이다 라고 보죠.
○ 인심가세신 도소장황백
황백은 신장약이지. 그러나 하초로 끌고 가는 약이니까 아마 인경약이 되지 않나 보죠.
○ 보비 백출정향사인 조위 구감대조사당
백출은 비위의 기본약이죠. 비위는 습을 싫어하죠.
위액 분비의 과소도 있지만은 고장오는 것은 위액분비과다가 되는 가봐요.
그래서 제일 먼저 생각할 것이 창출 백출인데
이것은 거습이 되면 위가 자연히 기분이 좋아져서 위기능 활동이 좋아지는 모양이야.
습이 많을 경우에는 속이 메시꺼워지니까 방향성이 있는 약이라야 위가 좋아지는 모양이야.
그래서 향사육군자탕 보면 전부 기약이예요(향부자, 사인, 백두구, 진피, 익지인, 목향). 그러니까 기가 잘 순행 되는 약.
비습이 많을 때는 신경이 둔화가 되서 활동이 저지가 되는 모양이야.
거기다가 행기하는 약이 많이 들어가서 위에 자극을 주는 모양이야.
그래서 활동력이 생겨. 그래서 향사육군자탕을 도포에 쓴다고 그러지.
조금만 먹어도 배가 잔뜩 부를 때 쓰데.
배가 잔뜩 부르다하는 얘기는 위가 신축을 하는데 오무라지는 맛은 없고 늘어지는 맛만 있단말야.
늘어진다는 얘기는 신경이 활동을 않는다는 얘기가 되거든요.
그러니까 자극제를 넣는거야. 위에다가 너 왜 잠을 자니하고 쑤석거리거든.
그러니 일어나 활동한단 말야.
거기다 인삼을 넣어 기운을 조금 거들어 준단 말야.
그러면 위가 활동을 제대로 하니까 밥을 먹어도 배가 부른 맛이 없죠.
그러니까 방향성 있는 약은 비위를 안정시키고 비위활동을 잘하게 한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백출 정향 사인이 보비약으로 여기에 적어놓은 것 같다.
구감초 대조 사당은 다 단약이니까 감미는 완해하는 작용이 있어.
그뿐 아니라 위가 기운이 없어 허전할 때는 단것도 좋지만은 활동하는 데는 방해가 되요.
그렇지 않겠어요. 그래서 습이 너무 과잉되서 많다든지 한 사람은 의례 단 것을 먹으면 안좋지요.
그래서 건중탕에 감초가 들죠(작약, 계지, 감초, 생강, 대조). 그러니까 2/5가 단약이라 그러니 몹씨 단약으로 봐야죠.
거기다 또 엿을 넣어야 되니까. 엿자체를 생각해볼 때 굉장히 달죠.
그러니까 뱃속의 근육이 성이 난 것을 완해시켜 주면서 보해 주는데는 건중탕이 필요하지만
그놈이 소화가 안된다든지 할 때는 좋지 않죠.
작약 감초를 배아픈데 쓴다고 하지만 복근이 성이 나서 배가 긴장이 되며 아플 때 완해시켜줘서 복통이 그치는 거지.
그놈이 소화가 되서 배아픈 것이 낫는 것이 아니란 말야.
오히려 배 아플 때 작약 감초를 많이 넣으면 소화가 안되요.
그러니까 여기서 단약은 위가 허전하고 기운이 없을 때 쓰는 약이지 소화가 안될 때는 이게 안되겠죠.
○ 비량사자 승마석고 백작위인 위량사자 대황망초 갈근유도
서늘하게 한다는 것은 사한다는 얘기이고, 온하게 한다는 것은 보한다는 소리.
그러니까 보약하면 벌써 온열약이 들어가는 것이고, 사한다고 하면 양하고 냉한 약이 들어 간다고 봐야겠죠.
그러니까 대개 위를 깎은 약은.. 승마갈근탕은 열을 치는 약이지. 승마가 위열을 친다.
그래서 입병이 날 때 승마·갈근을 많이 쓰죠.
그러니까 승마갈근탕 재료가 승마 갈근 백작약 그렇죠.
백작약이 서늘한 약이니까 위를 서늘하게 해준다라고 봐도 좋을 거예요.
석고는 백호탕재료이고 갈근해기탕의 재료라 봐야겠죠.
그러니까 비위가 열이 있을 때는 백호탕 재료.
석고를 쓴다든지 갈근 승마 백작약을 쓴다든지 그렇죠.
위열이 있으면 비는 서늘하게만 해줘도 좋지만은 설사를 시켜야 될 것 아니겠어요.
그러니까 대황 망초같은 약을 넣은 것 같습니다.
이 약은 승기탕 재료죠. 그런데 승기란 기를 올린다는 얘기이다.
대황 망초는 설사를 시키는 약인데 어떻게 승기라고 그러느냐는 얘긴데
대개 열이라는 것은 위[上]에 있고 한은 아래 있잖아요.
그러니까 위에 있는 자체는 아래로 내려가야 활동이 되는 것고 아래 있는 찬놈은 위로 올라가야 활동이 되는 거지.
위에 있는 열을 승기탕 재료를 써서..
대황과 망초를 써서 열을 내려준다 보면 열이 빠져 내
려가니까 상부가 서늘해 진단 말야.
그러니까 순환이 되지 않던 氣가 순환이 되니까 음기는 상승하고 양기는 하행하여 제대로 순환이 되는 거라.
병사는 아래로 내려가는 반면에 내 정기는 위로 올라간다.
그래서 승기라고 이름을 짓지 안했나 그런 생각이 있습니다.
○ 건비자 창출건시이당 개위자 귤피생강석어
건시는 맛이 달고 수렴도 되고 하니까 보가 되는 것 아닌가.
보비에는 백출이라 했는데 건비에는 창출이라 썼는데.
백출은 전분이 많고 창출은 전분이 적고 심이 많아요.
창은 약이 거칠고, 백은 약이 알차죠.
그리고 심이 적어요.
그래서 발한즉거습하는 작용이 적고 보하는 작용이 겸해 있다고 봐야 겠죠.
창출을 발한작용이 강하고 보비하는 작용이 약하다. 그래서 중경시대에는 출이라 해서 그냥 썼어요.
맛는 같은데 백출은 한독한 맛이 적도, 창출은 한독한 맛이 많아요.
습을 강력하게 제하는 데서 소화가 더 잘될 거고. 습을 덜 제하는 놈은 소화가 덜 될거예요.
그러니까 백출은 거습보비하고, 창출은 거습건비가 된다고 쓴 것 같습니다.
창출은 넣으면 비의 활동이 강하고, 백출을 넣으면 활동이 적다고 봐야겠죠.
활동을 많이 하면 우리가 피로가 더오지.
창출은 많이 먹으면 위가 덜 좋다고 봐야 하고, 백출을 넣으면 비 위가 좋아진다고 보죠.
생강은 구수하는 약이죠.
그러니까 위에 습이 과잉되어 있을 때 생강을 먹으면 반하하고 같이 작용해서 물을 말려 주는 작용을 한단 말야.
그리고 쫓아주는 작용을 하면서도 매운 놈은 발산을 잘하죠. 헤치기를 잘 한단 말야.
그러니까 기운을 몸 전체로 잘 퍼지게 한다고 봐야 할 꺼예요.
귤피는 흉부에서 기가 순환이 안될 때 기순환을 잘 시켜주고
거기다 생강이 들어가니까 더 협조해서 기가 더 잘 퍼지겠죠.
그러니까 비위가 입맛이 없다든지 할 때 귤피 생강같은 걸 먹으면 입맛이 놀고 소화기능이 힘을 얻겠죠.
석어는 '조기'를 말하는데 석어는 비위를 좋게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홍역 마마를 할 때 대개는 다른 생선은 다 먹지 말라는데 이 조기는 먹어도 좋다고 책에 그렇게 되어 있더라고.
그러니까 조기가 비위를 좋게 해주고 어딘가 한독한 기가 없나봐요.
○ 행비기 후박 평위기 대맥
후박이라는 것은 고방에 보면 후박삼물탕·후박칠물탕이라 하면서 후박이 주가 되며 배가 더부룩한데(滿) 쓰는 약이라.
더부룩한 것은 내용물이 없으면서 배가 차오르는 것(창은 배에 잔득 내용물도 들고 배가 차는 것).
그러니까 요새 말로 배에 gas찼다고 그럴까.
그런 속이 답답한 기운을 하기시켜서 풀어 주는 작용을 하는 약이죠.
그래서 대개 후박 진피를 같이 쓰죠. 또는 후박 지실도 같이 쓰는데 그 작용도 조금씩 다른 것 같아요.
진피는 기순환을 잘 시키면서도 흉부에 작용을 하고,
후박은 기순환을 내려주면서도 상하복부에 작용한다고 봐야할 꺼예요.
그래서 후박이라는 약은 평위산에도 보면
거습하느라고 창출, 행기하려고 진피, 거기다 더부룩한 것도 풀어 주려고 후박 그렇게 넣어 있어요.
대맥은 별로 약에도 안써서 잘 모르겠으나 보리라는 것이 소화는 잘 되는 것만은 틀림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위기를 편안하게 한다고 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마황 득계지이발한 작약 득계지이지한
그러니까 계지하고 작약은 땀이 나는 사람에게 쓰는 약이고,
계지하고 마황은 땀나지 않는 사람에게 쓰는 약이다 그렇지 않아요?
그러나 계지 자체는 지한약이 아니고 발산(汗) 약이죠.
마황에다 계지를 넣은 것은 피부, 주이가 다 병사(毒)이 있어 결국은 피부가 밀폐가 됐으니까
마황으로 피부의 밀폐된 것을 열어 주면서 피부 주이에 있는 한을 내고 계지로서 기육의 발한을 시킨단 말야.
그래야 온전할 것 아니겠어요. 그러니까 땀을 통해서 피부와 주리 기육에 있는 병독을 다 쫓는단 말야.
그래서 마황탕에는 계지가 든다고 보고.
태양중풍이라 해서 땀나는 감기에 후세 사람들은 태양상풍이라 해서 이렇게 썼어요.
왜 그렇게 쓴고 하니 진짜 중풍하고 감기의 땀나는 중풍을 혼동하기 싶단 말야.
그러니까 상풍이라고 글짜를 바꿔 놓은 거야. 그러니까 책에서 상풍이라고 하면 땀나는 중풍과 같은 거죠.
태양중풍은 피부 주이는 열려서 땀은 나는데 기육의 발한은 못시켜서 병독이 속에 있어 가지고
자꾸 오소소 춥고 다리팔이 아프고 오니까 땀은 막아줘야 될 것 아냐. 땀이 자꾸 나니까 힘을 못쓴단 말야.
그러니까 작약으로서 땀을 막고 계지로서 발한하는거라.
그러니까 계지는 기육의 발한을 시키면서 작약으로서 살며시 막아준단 말야.
그런 바람에 주이의 병독이 나가고 작약이 아물어 준단말야.
그래서 땀나는 감기에 계지탕이 필요한 거야.
그러니까 어디까지나 기육의 발한을 시키면서 지한을 시키는 거라.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볼 때 땀이자꾸 나는 사람은 땀이나면서 피부 주이가 허약하기 때문에 병독이 자꾸 들어가요.
그래가지고 자꾸 땀이 나는데 선풍기를 자꾸 쐬면은 으시시하고 기분이 언잖고 마비가 온다고
그러니까 무조건 지한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지로서 발한을 시키면서 작약으로 지한을 시키는 것이라고 알아야지요.
그러나 계지탕에는 작약에 계지가 들어갔고, 마황탕은 마황에 계지가 들어갔고 마황탕은 다 땀내는 약이고,
계지탕은 계지가 땀을 낸다고 해도 작약이 땀을 막아준다고 알면 되죠.
○ 황기백출 취방풍이지허진 당귀황기 겸삼황이지온액
허진이나 온액은 다 허한이다 도한이다 '한자'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니까 동의보감을 볼 때 땀나는 것을 어디가서 찾아봐야 하나? 진액문에서 찾아야 한다.
땀(汗)이라 써있지 않다.
그속에 작은 한나는 것이 열거되어 있다.
그외 침흘리는 것, 침이 마르는 것 등이 다 진액문에 기재가 되어 있어요. 그래서 위의 글에도 진, 액은 다 한이라.
황기 백출은 방풍을 얻어야 된다고 그렇게 썼는데 옥병풍산이라는 약이 있어요.
땀만이 나는데 쓰는 거예요.
옥병풍산(中96) 치표허자한
백 방 황
출 풍 기
2∼5전 각 1∼2전
방풍이란 약은 땀이 나는데 그치는 약이야? 아니야 발한하는 약이야.
우리가 형개 방풍은 형방패독산을 쓰지 않습니까.
방풍은 風을 제하는 약이니까 발한이 되는 약인데 책에 보면 방풍이 풍을 치하는데 대표약인데
치풍하는 강활 독활 시호 박하 형개 전호 등이 다 풍을 친다고 하지만은 풍자를 안썼어요.
그런데 이놈은 "방풍이라" 아주 풍을 막는다.
이렇게 쓴 약인데 풍약에 안 들어가면 안되겠어요.
그런데 책에 보면 척후병 역할(정찰, 제일 앞서서 쫓아 다니는 놈)을 한다고 하데.
그러니까 방풍이란 놈은 약에다 넣으면 그 약기운을 뒤에서 따라 오너라 하고서
앞에서 구석구석이 쫓아 다니는 역할을 하는 거라.
그러니까 제일선에 나서서 졸병 역할을 하는 거라. 그러니까
황기는 땀이 나가지 못하게 하는 약이라 지한하는 약이지만 황기에 방풍을 넣으면 황기의 역할이 배가가 된다고 해.
그놈이 황기의 기운을 끌고 내몸 전체에 다니면서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 같아요.
옛날 어른들 처방을 쓸 때 황기5전에다 방풍5분이나 7분 이렇게 넣더라고! 그런데 그렇게 넣은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황기 백출이 방풍을 얻어야 허한이 그친다고 쓴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황기 백출을 쓸 때 방풍을 안넣으면 안되겠죠?
땀나는 약이기 때문에 거드는 정도의 작용을 요하는 거니까.
황기가 5전하면 가령 백출은 2전한다든지 방풍은 7분한다든지 보조作用만 해줘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 당귀와 황기가 삼황을 얻어야 도한이 그친다.
도한이라는 것은 혈허유열이면..
내가 모르는 사이에 즉 눈만 감으면(안) 땀이 난다.
잠이 안들면 땀이 안나요. 눈만 감으면 자지를 않는데 땀이 나는게 있어요.
그러면 도한이 아니예요. 그것은 담열이 있으면 눈만 감아도 땀이 난다 한다.
그럴 때는 소시호탕같은 것을 써야 된다. 눈만 감는게 아니고 잠을 자면 나는 것이 도한이냐.
도한은
①피가 부족(血虛)한데 열을 받으면 그렇다. 또
②표허유열이라 표가 허한데 열을 받으면 그렇다고 하데.
그러니까 이 약은 당귀육황탕을 말하는 거라.
당귀육황탕(下67) 치도한성약 내혈허유화야
황 생 숙 당 황 황 황
기 지 지 귀 연 금 백
2전 각1전 각0.7전
성자는 아무데나 붙이나. 시대를 불문하고 온 인류가 추앙하고 모시는 대상이죠.
공자, 석가모니, 예수 등. 그러니까 도한에는 1000년전이나 1000년후에나 본방을 머어야 낫는다는 이야기 같다.
약은 7가지인에 6가지가 황자가 들고 당귀만 안들었어.
어른에게 이 약 쓰기는 무난하지만 애기들은 너무 차서 몇첩 안먹고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난다고 난리를 쳐요.
황기와 당귀 숙지황만 차지 않고 황기만 조금 나을까 모두가 소화가 안되는 약이죠.
그러니까 복통설사를 하죠.
그러니까 본방을 소아에게 쓸 때는 삼황(황련 황금 황백)을 덜 넣는다든지
그렇지 않으면 한첩 정도 먹여봐서 무난하면 지어주고 그렇지 않으면 주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소아들에게는 황기건중탕이 제일 무난한 것 같데.
황기건중탕을 써보니까 엿이나 단 것을 싫어하는 사람은 부작용이 오는 경우가 있어.
엿이나 설탕을 넣어서 부작용이 올 때는 엿이 더 부작용이 강한 것 같고 설탕은 부작용이 덜한 것 같아.
그래서 처음에는 설탕을 넣어서 써봐라.
설탕을 넣어도 좋다하면 엿을 넣어라. 이렇게 하면 되죠. 그리고 단 것을 싫어하는 자는 주지마라.
환자에게 물어서 환자가 싫다고 하는 맛의 약을 주면 반드시 실패합니다(신 것을 싫어하면 오미자 오매 등을 주지 말라).
증상을 반드시 환자에게 불어봐라.
골치가 아프더라도 땀이 나면서 아파요 하면 아하 땀을 그쳐주면 낫겠구나
〃 메스꺼우면서 〃 치담을 하면 〃
〃 쑤시면서 〃 열을 제하면 〃
〃 어지러우면서 〃 보혈을 해주면 〃을 알 수 있죠.
만약에 단 것이 싫다는 사람에게 억지로 먹이면 안되요.
약도 아무리 독하더라도 그 사람에게 맞으면 독하다는 말이 없고 맞지않는 약을 1첩을 먹였더니 진저리가 나요.
3첩을 먹였더니 죽어도 못먹겠어요 하면 그 약 먹으면 반드시 해를 봅니다. 나머지 약은 버려야지.
○ 토담고체 무두시불통 하열대황 사지실불통
그러니까 토담하는 데는 고체산을 써야 하는데 고체를 쓸 때는 담두시를 같이 써야 된다.
열을 내리려 할 때 대황을 쓰는 데 지실을 같이 써야 한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담두시라는게 해열하는게 아니예요? 열독 푸는 약이 거든요.
그러니까 흉부 이상에 어느 열독이 있어서 배길 수 없으니까 토하는 것이니까 거기에 해독하는 약을 같이 넣어야 된다.
그래서 고체산에다 담豆시를 넣는 것 같다.
★ 대황이 지실 얻어야 한다는 얘기는 대황이 훌 부셔 나가게 하지만 하하는 작용만 있지.
지실은 어느 덩어리를 녹여서 내려가게 하는 작용이 있단 말야. 성난 것을 녹여 내려보내는 작용을 한다.
고방에 보면 백출지실탕이 있죠. 그것을 후세방에서 작환하여서 지출환이라 하죠.
그런데 백출 지실을 쓰는 동기는 명치(心下)에 가서 "복배지상"이라 잔을 엎어 놓은 상태같은 경우에 쓴다고 했는데
그것을 누르면 속까지 딴딴한 것이 아니라 거죽만 딴딴하고 속은 무르다.
그러니까 어딘가 담수가 응체되서 덩어리가 되어 있을 때
물기운은 백출이 거습하고 지실 기운이 그것을 파 헤쳐서 내려가게 하는 거라.
그래서 지실을 쓰는 거라. 명치가 답답할 때 지실을 쓰면 잘 내려간단말야.
그러니까 요즘 종기 앓는 사람이 몽우리가 잔뜩 섰다할 때 고방에 배농산이라 해서
지실 작약 각 5전·길경 2전(비율로 세말하여 1회량 4.0전을 난황에 加하여 잘 저어서 백비탕으로 복용) 배농한다고
얘기 했는데 요약을 보면 작약이 근육에 성 이 난 것을 근육을 완해하고
길경이 목구멍이 곪기고 폐가 곪기고 할 때 쓰는 약 아냐.
길경이 소염하면서 어느 종을 배제하는 작용하고, 지실이 어느 덩어리를 헤치는 작용을 하니까
작약 지실 길경이 이상적으로 들어가서 딴딴하게 응체된 것이 풀려버려요.
종기도 풀리는데 뱃속의 멍우리 풀리는 거야 문제가 아니죠. 그렇죠?
그러니까 대황으로 부셔 버리면서 지실로 덩어리를 같이 나가게 하는거야.
그래서 소승기탕(대황 4전, 후박·지실 각 1.5전) 대승기탕(대황 4전, 후박·지실·망초 각 2전)에도 지실이 들어가죠.
지실이 독한 약이예요. 그러니까 대황이 지실을 얻어야 협조해서 잘 통리가 된다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제는 더러 쓸 수 있지만은 토제는 어렵죠.
인체 병이 왔을 때는 치료하는 방법이 어딘가 열린 문으로 내쫓아야지 않을까요.
사람은 구멍이 여럿 아냐? 그 구멍이 다 병독이 나가는 구멍이야. 입으로 코로 대소변으로.
그러니까 병이 흉부 이상에 있을 때는 토해야 할거고,
또 복부이하에 있을 경우에는 싸야할 꺼 아니예요.
그러나 흉부이상 제이하가 아니고 배에 있을 때에는 이놈은 설사도 토도 시킬 수가 없는 거야.
이것을 잘 달래서 화해를 시켜야 돼.
피부에 있는 것은 땀을 내야지. 그러니까 두드러기 난데.
한방에선 땀을 내는데 양방에선 살짝 없애 주는 거라.
그래서 병독이 나가지 못하고 살짝 약 먹는 동안만 어디로 갔다가 약기운이 없으면 다시 나와.
그래서 1달 2달이 가도 못고쳐.
그런놈의 약이 세상에 어디 있어! 우리 청기산 2첩만 먹으면 거뜬히 낫는 것을.
양약국에서 한달 2달 심하면 1년되도 못낫어. 청기산(中149) 치은진 혹적혹백 소양
형방패독산(中19) 가천마 박하 선퇴 강삼편
그런데 토하는 것은 위험해요. 잘못하면 심장장애를 일으켜요.
고체는 유독성분이 있데요(심장에 독을 줄 수 있는 성분).
맹친구 김형달이 고체산을 잘 썼는데 별로 신통하지 않아.
○ 건강반하 정구위묘 시호황금 화해위주
대개 구역을 그치는 약이 뭐예요? 소반하가반하탕이라 해서 반하만 주는 것 아니예요.
또 이진탕이라 해서 반하(지구) 구역을 한다 메시껍다 하면
반하부터 먼저 생각을 해야 하는데 반하에다 생강을 넣어야 원칙같아.
그러니까 여기는 건강을 썼지. 반하 생강이 지구의 기본 약이예요. 속이 메시꺼우면 생강을 씹지 않아요.
생강이 그렇게 맵고 퍼지는 약인데도 담기운을 가지고 아래로 하강을 해요.
그래 구역나는 사람에게 생강이 아주 좋지요.
그러나 만성일 경우에는 좋겠지만 급성일 경우에는 반하 생강이 더운 약이니 안좋겠죠.
근본적으로 구역 자체를 가시게 하는데는 반하 생강 진피가 아니면 안된다. 그렇게 보는거죠.
소반하탕 반하 12전 생강 12전 (1일2회)
소반하가복령탕 반하 생강 각 12전 복령 4전 (1일2회)
★ 시호 황금은 표도 아니고 이도 아니고 반표반리라 해서 말하자면 중간성이 있을 때 쓴다.
한열왕래에 쓴다고 하는데 화해하는 약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는 약 같습니다.
소시호탕을 상징해서 적어 놓은 것 같아요.
엄격히 말해서 반표반리라 해서 표도 아니고 이도 아닌 중간에 있는 경우가 있어.
표로 가까운 경우도 있고, 이에 가까운 경우도 있을거라.
그래서 그전에 한열왕래가 와서 소시호탕을 써보니까 안낫더라.
그래 가만이 맹이 냉철하게 생각해 보니까 그게 한증이 적도 열증이 많아. 한열왕래가 오는데도 아! 그래서 그랬구나.
그런데 다른 약에는 표병 이병에 관한 약이 다 있어.
양명병에 표병에는 갈근해기탕
이병에는 백호탕
태양경병 표병에는 마황탕
이병에는 오령산
아 그런데 소양경은 반표반리라서 표병 이병이 없어. 그럴 리가 있나 그래서 책을 보니까.
◆ 소양병에도 한증이 다할 경우에는 소시호탕을 쓰고 〃이증이〃 황금탕을 쓰라 했데.
황금은 이열을 치고, 시호는 표사를 치는거라.
그러니까 한열왕래가 있다고 하더라도 한이 많으면 소시호탕을 쓰지만 이가 많은 경우에는 안되더라고.
화해한다는 것도 그 속에서 많고 적은 것을 가려야 되지 그냥 똑같이 써서 안되는 경우가 있어요.
책을 볼 때는 다 낫을 것 같은데 약을 써보면 안낫는다고 이것은 엄격한 구별이 안되서 안낫는 거예요.
○ 중풍졸도 아조세신 중한도부 부자건강
아조각는 조각자이죠.
당조각(중국산) 상조각(한국산으로 넓쩍하고 약효가 적다. 그리고 상조협이라 해서 우리나라 산으로 쓰고).
당조각은 약력이 강하다. 저아조라 하는데 돼지 어금니 같이 좋은 조각이라.
그러면 중풍졸도에 이것을 먹느냐?
아니예요.
코에 불어 넣는 거예요. 구급약으로 쓰는 거라.
그 자극에 의해서 에취! 하면서 재채기하는 바람에 기를 통하는 거라.
시계 잘 가다가 정지할 때 툭툭 쳐보면 다시 가는 식으로... 재채기 하더라도 氣가 돌지 않으면 죽는거라.
중한이라는 것은 찬데서 꽁꽁 얼어서 동태가 됐다는 말일거야.
속이 찬놈에 맞았으면 추워서 쓰러지지.
○ 향유편두 의호소서 택사저령 가이삼습
저령 택사는 五령산 재료죠.
뒤가 묽고 소변이 시원치 않고 갈증이 나고 답답할 때 번갈뇨삽에 오령산 쓰는 것 아니에요.
저령 택사는 거습을 하니까 여름에는 습이 꼭 따라 다녀요.
★ 또 서독을 푸는 데는 향유 백편두가 좋습니다.
여름에 약을 질 때 속이 답답하다 갑갑하다 할 때는 대개 향유 백편두는 무조건 넣어줘요. 그러면 좋습니다.
향유는 발한이 되면서도 해독이 되고 백편두는 열독을 치는 거야.
해독제 아닙니까.
콩이라고 하는 것은 다 해독하죠. 백편두를 쓸 때는 반드시 볶아서 써야 한다.
○ 맥문오미 종천화칙지갈 황백지모 득산치칙강화
맥문동 오미자는 생맥산 재료이니까 渴症을 가시는데 天花粉도 渴症을 가시는 약이라.
古方에 보면 瓜蔞桂枝湯이라는 處方이 있죠. 渴症이 오면서 桂枝湯 증상이 올 때 쓰는거라.
中風이라기 보다도 腦증상일 때 拘急이 되고 强直이 될 때 瓜蔞桂枝湯을 쓰도록 되어 있어요.
그런데 瓜蔞라는 것이 渴症을 가셔주면서 내몸의 어딘가 津液을 보충해 주는 作用을 하는 것 같습니다.
麥門冬 五味子 天花粉은 糖尿病 환자에 이 약이 아니면 안되잖아요.
麥門冬 五味子는 津液을 보충하면서도 어딘가 熱이 적을 때 쓸 수 있고,
天花粉은 津液을 보충하면서도 解熱이 많이 되고,
★ 知母 黃栢은 滋陰降火湯을 이야기한 것 같습니다.
梔子는 肝 心包의 熱을 내린다.
知母 黃栢은 腎經 熱 내리는 약이라.
○ 傷於食者 蒼朮陳皮香砂可兼 健乎脾者 人蔘白朮薑령最良
음식에 상한 사람은 蒼朮 陳皮 香附子 砂仁을 가히 兼한다.
蒼朮 陳皮는 平胃散을 쓴다는 얘기라. 平胃散을 쓸 때 香附子 砂仁을 넣어라.
그러니까 香砂 平胃散이겠지. 그러니까 傷於食者는 香砂平胃散(下24)
蒼 陳 香 枳 藿 厚 砂 木 甘 薑
朮 皮 附 實 香 朴 仁 香 草 三
2錢 各1錢 各8分 各7分 各5分
人蔘 白朮 乾薑하면 理中湯이고
人蔘 白朮 茯령하면 四君子湯이라.
그러니까 四君子湯이나 理中湯 재료를 쓰면 脾胃가 좋아 진다 그런 얘기 같습니다.
熟하黃기 氣血兩虛者爲主
酒芍當歸 虛勞感損者爲君 (酒炒한 芍藥과 當歸)
○ 熟하黃기 氣血兩虛者爲主 酒芍當歸 虛勞感損者爲君 (酒炒한 芍藥과 當歸) 熟地黃은 補陰하고,
黃기는 補氣하고 當歸는 四物湯 재료지만 陽藥이다 보고 芍藥은 陰藥이다 봐야겠죠.
芍藥 當歸는 虛勞感損者이니까 歸기健中湯, 雙和湯재료라 그렇죠?
그런 사람은 當歸 芍藥으로서 피로를 풀어라 그런 것 같습니다.
○ 降陰火壯腎水 不外乎知母熟하龜板 止吐瀉溫厥冷 不出乎人蔘薑附國老
陰火가 내려가면 腎水는 저절로 생기는 거죠 그렇죠? 그러니까
火가 내려가고 腎水가 씩씩하려면 知母 黃栢으로 火를 내리고 熟하 龜板으로 補陰을 하면 된다는 얘기 같습니다.
그런데 龜板이라는 놈이 補陰이 얼마나 잘 되는지 모르죠.
熟地黃이 補陰한다고 하지만 熟地黃 정도가 아니죠.
"千龜萬鶴"이란 말이 있잖아요.
남을 오래 살라고 축복할 때 쓰는 말이죠.
학은 만년을 살고 거북은 천년을 산다는 말이죠.
진짜 그런 줄을 모르겠으나 새중에서는 학이 바다에서는 거북이 제일 오래 산다는 것 같습니다.
물속에서 생기는 놈은 다 補陰하기 마련이지 補陽하게 되는 것은 없죠.
陰氣니까 바다에서 생긴 놈은 다 解熱作用이 있지..
바다에서 조개같은 것 미역같은 것 일년 이태 자라는 것도 다 火를 눅이는 거죠. 그렇죠?
거북은 바다속에서 몇십년 몇백년씩 자라는 얼마나 補陰이 많이 될꺼야.
그래서 어떤 사람보니까 附子를 넣을 때 附子가 염려스러우면 반드시 龜板하고
함께 넣어주데(附子를 잘 쓰는 사람) 그러니까 더울 때에는 살며시 찬놈을 붙여주고,
추울 때는 더운놈을 붙여주잖아. 언제든지 相對라는게 있잖아요.
봄기운에는 가을 기운이 兼해야 된다는 얘기 아닙니까.
여기 川芎이 있을 때는 芍藥이 있어야 된다 말야.
川芎만 있으면 날라가 버리는데 芍藥이 있으면 川芎 기운이 날라가질 못하죠.
芍藥기운은 오그라드는데 川芎기운이 퍼뜨리는 맛이 있어야죠. 그렇지 않아요.
그러니까 더운 약을 써서 잘 못해서 폭발하는 作用이 있지 않나 생각되면 찬약이 조금 넣어져서 그 놈이 행세를 못해요.
★ 토사를 그치게 하고 수족이 차(냉) 올라 가는 것을 뜨뜻하게 하는 것은 인삼 건강 부자 감초가 따라 가는 것 같아요.
○ 오약향부이순기 승마길경이제기
순기하는 것과 제기하는 것이 다른 것이 순기는 대개 하기가 되어야 순기가 되는 겁니다.
그렇죠? 기운이 아래로 내려 간다는 것은 순기가 된다고 얘기고,
기운이 위로 올라간다는 것은 역기가 된다는 얘기같습니다.
오약 향부자를 쓰면 기가 소통이 잘되서 아래로 기가 순행이 잘된다.
제기라는 것은 기를 위로 올려준다. 승마는 위열을 치는 약인데 승마위풍탕(中123)이라.
얼굴이 붓고 열이 있을 때 승마를 쓴다 이런 얘기 같습니다. 승마위풍탕(中123) 치위풍면종
승 감 백 당 건 창 마 시 고 강 황 초 만 강 조
마 초 지 귀 갈 출 황 호 본 활 백 두 형 삼 이
2전 1전반 1전2분 각1전 각3분 2분
승마는 위약이라고 했는데 위로 올라가서 발한을 시켜주는 약이 승마이다.
길경을 목구멍 아플 때, 폐에 고장이 왔을 때 쓰는 약이다.
그러면 흉격을 시원하게 해주고 위(上)로 올라가는 약이다.
○ 강기소자침향 산기목향강즙
소자강기탕을 연상해서 소자를 제일 먼저 써놓은 것 같아요.
강기한다는 말은 순기한다는 말로 해석하면 될꺼예요.
기라고 하는 것은 위로 뜨는 것 아니예요.
위에 있는 것은 제 본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거지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아래로 내려가야 활동을 하는 거라고 봐야 할 거예요.
그런데 소자라 하는 것은 흉부의 담을 없애줘서 담수를 제거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작용을 하는 것 같아요.
침향이라는 것은 통기가 제일 잘되는 것이 아니냐.
사향다음에는 침향같아요. 기약은 다 막대기로 된 약이 통기되는 거라.
나무로 된 약이 통기 안되는 것은 없다고 봐지죠.
침향도 나무 뿌리라고 하잖아.
오약 백단향 자단향 이라든지 하다못해 계지라든지 다 기가 순환되는 약이다.
따지고 보면 소경도 통기가 되는 약이예요.
그래서 흉부의 어느 기를 순환시키려 하면 소자를 안넣고 소경을 넣죠.
★ 목향도 기약이죠. 생강도 온약이지만 기약으로 봐야겠죠.
생강이 축수한다.
물을 쫓는 바람에 신경이 순환이 되고 약력을 모든 경락으로 퍼지어 가도록 한다.
그래서 인경약으로 "생강 3쪽을 넣으시요"라고 하죠.
물을 헤치는 바람에 기가 순환이 잘되죠. 그래서 강즙을 쓰는 거죠.
목향은 간경의 어느 기가 옹체된 것을 풀어 주는 약이야. 소간지제라 그렇게 얘기하죠.
간을 성기게 해준다는 얘기죠.
간을 성기게 해준다는 얘기는 간기가 옹체해서 어느 열이 생길 때 확 풀어 주면서 열이 안나도록 한다는 거예요.
그리고 목향이 소화제야 아주 소화가 잘되는 약이야.
그것을 무엇으로 아느냐 하면 곰팡이가 잘나고 상하길 잘한다고 소화제는 잘 삭어 내려가는 것이라.
그래서 가만히 소화제를 보면 삼릉 봉출이 곰팡이가 잘 나요.
그래서 강력한 소화제로 어혈도 잘 치고하죠. 지각 지실 같은 것도 잘 상해요.
신곡 맥아는 말할 것도 없죠. 그래서 산사 지실 맥아 신곡 목향 삼릉 등을 보면 조금만 잘못해도 상해요.
곰팡이가 나요. 그러니까 목향은 소간도 시키고 소화도 시켜준다.
간장이라는 것은 너무 헛틀어 지니까 수렴작용을 하는 것은 보하는 거고
또 간기가 옹체하면 발생지기가 없어지니까 간기를 헤치게 하는 것도 간장약이 되죠.
○ 당귀생하활혈 당미도인파혈
당귀 생지황은 활혈한다. 그러나 그것도 많이 쓰면 파혈이 되죠.
그러니까 당귀는 보혈할 때는 신을 쓰고 또 파혈한다 할 때는 미를 쓰고 지혈한다고 할 때는 두를 쓰고 그러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생지황을 어혈을 치료하는 처방에 넣는 것 같습니다.
당귀미는 세근이거든 그러니까 전부 퍼진 놈이라 그래서 잘 퍼지는 작용을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미를 쓰는 것 같습니다.
도인은 윤조가 되고 파혈이 되는 것인데 도인승기탕 재료가 도인이 위군아닙니까.
본방이 어혈 치는데 대표약이죠.
본방은 어혈을 쳐도 변이 잘 안나가고 검게 나간다든지 할 때 쓰는 처방이예요.
그런데 변비하고 어혈하고는 연관 관계를 갖는 것 같아. 왜그런고 하니 변비약을 보면 전부가 파혈약이야 그렇죠.
변비약에 뭘 넣어? 도인 대황 행인 빈랑 홍화를 넣더군요. 뒤가 안나가면 대장에 가서 열이 응체하나봐요.
그래서 그 열 때문에 진액을 자꾸 소모를 시켜
그래서 진액이 마르니까 뒤로 나갈 놈이 없고 자꾸 딴딴해지거든 그러니까 그속에 독소가 생기죠.
그 독소가 어혈이죠. 도인승기탕의 정증이 소복급결이라 하복을 못만지게 하는데 복진상
┌ 좌하복에 급결이 오면 도인승기탕이요 같은 어혈이라도
└ 우하복에 〃 대황목단피탕이예요.
복진할 때 아랫배를 눌러서 오른쪽이 아프고 하면 맹장이건 자궁염이건 대황목단피탕을 쓰는 거야.
그리고 왼쪽으로 온다면 도인승기탕을 써.
그런데 고방뿐만 아니라 후세방에도 배에 적취가 있다고 할 때 우는 식적, 좌는 어혈, 가운데는 담이라고 했데.
그러니까 윗배만 하더라도 왼쪽이 더 아프다고 하면 어혈로 보는 것 같아요.
그러니 아랫배야 더 말할 것이 없죠. 좌하복에 어느 응체된 독소는 도인승기탕이 아니면 안풀린다 하죠.
어떤 사람 보면 배에 거죽만 있는데 좌가 아프다는 사람이 있어.
그래도 기운이 있어야 도인승기탕을 쓰지.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 도인승기탕을 쓸 수가 있어요.
그러니까 그럴 때는 허실을 감안해서 써야죠.
즉 실증인 경우에나 도인승기탕을 쓸 수 있겠죠. 도인승기탕(下13) 치혈결 방광 소복급결 변흑 섬어
대 계 망 감 도
황 심 초 초 인
각2전 1전 유첨10개
어딘가 병을 볼 때 여기저기 아프다고 해서 감을 잡을 수가 없어. 그럴 때는 복진을 해봐요.
복진을 해봐서 진단해야지.
그리고 모든 병은 배에 고장이 오면 오는 모양이야. 배속이 편하면 세상 만사가 다 편하지.
비위가 좋고 하복 상복에 이상이 없으면 병이 없어요. 그러니까 복진에 시간을 할해하세요.
그러면 약을 쓰는데 해가 없습니다.
염태환 번역 복증기해. 김영만 역 복진기람을 참고할 것.
○ 폭토혈대황도인 구토혈당귀천궁
도인 대황은 어혈제야. 어혈제로 파혈이 되고 변비를 푸는 약인데
별안간 쏟아지는 토혈은 어딘가 어혈이 되서 오는 거라 보는가봐.
★ 오래된 토혈은 피가 다 나가서 원기가 없을꺼라. 독소가 있을 리가 있어 다 나가 버렸으니까.
그러니까 수렴작용이 부족해서 기운이 없어서 오는 거다. 그러니 당귀 천궁으로 보혈해야 된다.
그런데 폭토혈에는 대황 도인을 쓰는 것이 아니라
서각지황탕(下60) 같은 것 위열을 치더라도 서각 같은 약을 써봐야하지 않나.
맹은 서각지황탕은 써봤으나 대황 도인은 써보지 못했다.
※ 환자가 오면 치료해줄 생각 말고 어떻게 하면 현상을 유지하며 호전시킬 수 있나를 생각해!
독극한 약을 줘서 쓰다가 패를 보게 되면 큰 문제죠.
의사가 나 하나뿐이 아닌데.
내가 못고치면 남이라도 고치도록 해줘야지.
만약에 내가 고치다 못 고치면 다른 사람에게 갔을 때 이미 병은 벌써 기울어져서 못고친다고 됐을 때는
그 환자측에서 책임을 나에게 묻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책임은 도의적으로 내가 지는 거야.
그렇지 않습니까? 약이라고 하는 것은 어딘가 내몸에서 조화가 안맞아서 위화가 됐단말야.
그것을 조금 보강해서 거들어주면 그 바람에 balance 가 맞으면 내몸의 신진대사 作用에 의해서 병이 낫는 것이지
약이 낫게 해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죠.
그러니까 집에서 잘 수양해도 예수 부처를 기원한다던지 무당에 푸닥거리해도 낫는거라.
될 수 있으면 독한 약을 쓰지 말고 환자가 증상이 더하지만 않게 해줘라.
○ 뉵혈생하지혈 지혈경묵우즙
출혈하는데 음식은 뭘 먹어야 좋아요 하면 연뿌리를 먹으라 한다 -맹왈-
먹은 먹인데 왜 경이라 썼나 좋은 먹 상품의 먹이라는 것이죠.
먹은 어떤 것이 좋은고 하니 값이 비싼 것 3000∼4000원 정도.
피가 나는데 먹을 쓴다는 것은 피가 나는 부분에 가서 먹이 부착되서 응고가 되서 나오지 말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한방약을 보면 지혈제는 까맣게 태워서 쓴다고 그랬어. 태운다는 것은 숯을 만들어 쓴다는 얘기라.
양방에서는 지혈제로 탄소를 혈소판응고 작용을 하여서 지혈제로 쓴다.
먹이 부착이 되면 얼마나 좋은가 하면 몇만년전에 쓴 것이라도 변함이 없어요.
문패를 나무로 만들어밖에 걸어두니 비바람에 나무가 깍였는데 이름을 쓴 곳은 깍기지가 않아서 꼭 양 각을 한 것 같데.
그러니까 먹이 부착된 곳은 썩지도 않고 그대로 있다는 얘기니까. 그런 놈
이 뱃속에 들어가 혈관이 터져서 피가 나는데에 한번 응고가 되면 다시는 안나오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러니까 출혈할 때 응급조치로 먹을 갈아 먹는다.
먹물 먹어 본 사람 曰..
먹을 먹으니까 가슴이 답답하면서 토혈이 되는데 먹을 먹으니 박하사탕 먹은 듯이 속이 시원하더라고 하데.
먹의 향내가 속에서 진동하는 모양이라. 방약합편에 下61에. 칠생탕(下61) 치혈출구비여천 제약불효
생 생 생 생 생 생 좌구도취즙 농마 경묵여즙 동복
지 하 우 구 모 강
황 엽 절 채 근
각1양 5전
연근즙도 끈끈하고 먹물도 아교도 끈끈해요. 그래서 궁귀교애탕에 아교 놈이 작용을 해서 출혈을 치료해요.
현대인의 한방책을 보니까(중공서 실험한 것을 갖다가 일본놈이 번역한 것) 아교를 지혈제 로 시험해봤나봐.
혈우병환자에게 계속해서 복용시켜 치. 만주에서 나는 흑 노새의 껍질로 아교를 만들어야 좋지요.
아교는 살 때 아주 맑고 투명한 것으로 사용하세요.
○치자목통 요혈선 괴화지유 변혈량
괴화 지유는 해독이 되는 약 같습니다. 대개 괴화는 치질 이질 대장출혈에도 써요.
그러니까 어느 독소를 제거해 주는 작용이 내포되어 있지 않느냐 생각되요.
살충시켜주니까 열도 내려준다고 본다. 하초에서 나오는 출혈에는 지유를 많이 쓰죠.
토혈하는데는 측백엽을 많이 쓰는 것 같아서..
지유도 지혈이 되면서도 하복의 어느 열독을 제하는 작용을 하지 않나 생각이 들어요.
어디보면 지유를 서독에 쓴다고 되어 있어요.
★ 치자가 지혈제인 동시에 해울제이고 소염제인 것 같아요.
그래서 간화 심포열에도 쓰고 어딘가 울기를 풀어 내려 가슴이 두근두근하고 熱이 올 때는 치자를 넣어야 되죠.
그러니까 코피가 난다고 하는데도 치자가 필요할거라. 코피는 울열에 의해서 온다고 그랬데.
요혈에도 심소장열을 내려야 소변이 잘 내려 가는 것 같아요.
그래서 치자가 필요하지 않는가. 소장에 열이 있으면 요혈이 나온다고 보죠.
요혈에는 청장탕(下63)이라는 게 있어요 청장탕(下63) 치뇨혈
당 생 치 황 적 황 구 적 목 편 지 맥 감 등 오
귀 하 자 연 작 백 맥 복 통 축 모 동 초 심 매
초 각7분 5분 일단 일매
○ 통혈맥생하 행경락강력
생혈도 되고 파혈도 되서 생지황을 쓰는 것 같고.
경락을 통하는 데는 강즙과 죽력이라.
대개 중풍약에는 무슨 약을 쓰던지간에 강즙하고 죽역이 빠지면 안된다는 얘기가 있다.
이것이 경락을 어떻게 잘 통하게 하나? 강즙은 산기한다고 했죠.
그러니까 생강즙은 수독과 담을 치는 약이라. 중풍은 담을 안끼고 오는 것이 없죠.
왜그런고 하니 내가 신진대사가 안되는 바람에 피가 될 놈이 다 담이 되요. 수독이 되어버린단 말야.
그래가지고 경락에 가서 꽉 막혀서 가지 못하니까 신경이 못가요. 그러니까 쓰러지는 거야.
그러니까 생강즙이 들어가서 헤쳐주고 수독을 제해 줘야 한단 말야.
그래서 생강즙이 절대 필요한 거고 죽력은 대나무 기름인데 대나무를 잘라서 진을 낸거야.
그런데 대나무라는 놈은 사시 청청한 놈인데 푸르다는 것은 신선한 거야.
신선하다는 것은 맑다는 얘기야.
그러니까 대나무는 맑은 기운이 있어서 맑히는 작용이 있어요.
뇌가 탁하고 정신이 흐린 사람에게 이 죽력을 주지 않습니까?
그래서 번증에 쓰지요? 그런데 죽력은 대나무에서 기름을 낸거니까 잘 갈 것 아닙니까.
대나무는 절개가 있다 그러죠. 그것은 하나는 알지 두 개는 모른다는 소리고 꾸부러지지 않는단 말야.
전봇대 만한 것도 일년만에 자란다고 그래요.
굵어만 지는거지 올라가는 것은 일년치기래.
나는 죽력을 많이 쓰죠.
어지러운 사람, 뇌가 맑지 않은 사람, 가슴이 답답한 사람에게 죽력 이 별로 없으니까 죽여를 쓰죠. 언잖을 것 없죠.
위로 올라가는 놈이니까 머리가 가슴이 그렇다하면 그 죽여가 꼭대기에 가서 작용하겠지. 발에 가서 작용할꺼야?.
그냥 막 꼭대기로 나가는 놈인데 그리고 그 약 자체가 선선하고 맑히는 약인데
그래서 대개 어지럽고 그런 사람에게 머리를 맑히기 위해서 죽력 죽여 그리고 현증을 고치기 위해서 천마.
그래서 천마 죽여를 단골로 많이 쓰죠.
○ 창출 득강활칙신동 내지 강활 득천궁칙두통 즉이
몸이 전체가 쑤실 때는 강활을 쓴다고 보면 될 꺼예요.
창출이 강활을 얻으면 강활이 족태양방광경약이 아닙니까.
그러니까 몸전체가 쑤신다고 하면 몸 전체는 양이 닿는 곳이라.
태양경 닿는 곳이라 해서 강활을 쓰는 것 같습니다.
천궁은 상승하는 약이고, 강활도 날라가는 약이니까 천궁을 얻으면 머리로 더 잘 올라가겠죠.
그래서 골치가 낫는다.
○ 천궁 종천마이두현 거 길경 득지각이흉통 지
천궁 천마를 쓰면 어지러움이 가시고, 길경 지각은 흉통이 그친다.
천마라는 약은 싹이 자라면 바람이 불어도 흔들리지가 않아요.
현이라고 어지럽다고 하는 것은 흔들린다는 얘기야. 흔들리니까 어지러운 것이야.
그러니까 천마를 써서 흔들리지 말라는 것이죠. 그래서 천마가 풍약에 들어가.
천궁은 올라가는 약이고 천마는 흔들리지 않는 약이니까 머리가 흔들리는데 천궁 천마가 필요하겠죠.
그런데 어지러운 것은 왜 옵니까? 어지러운데는 대개 빈혈이라고 하데.
그럼 양방에서 보혈주사 맞고 한방에서 당귀 천궁 녹용을 먹으면 낫나? 경우에 따라서 낫지.
피 맞으면 맞는 동안만 낫고 후일에는 다시 그래. 피라는 것은 일정한 시간이 있지.
그 시간이 지나면 마찬가지야.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어지럽다는 것은 어지러운 사람치고 가슴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하지 않는 사람이 없어.
그리고 약을 보면 반하 복령이 빠진 약이 없어 어지러운데.
그러고 보면 반하 복령은 물 말리는 약인데 어지러운 것은 빈혈인데 빈혈인 자에게 물 말리는 약을 쓰면
더 마를 것 아니야? 안그렇다고 그러니까.
내 의견은 심하에 지음이라 해서 음은 눌러도 몰라요.
물이니까 눌러도 감각을 모른다고. 그러나 기분에는 뭐가 받치고 있는 것 같아.
갑갑하니 안개가 낀 것 같다고. 그래가지고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요.
기가 상충할 것 아냐? 갑갑하니까 위로 오락가면 기가 올라가는 바람에 수독이 기에 따라서 뭔가 형체도 올라갈 것 아냐.
기는 무형이니까 형체는 무엇이냐면 습기.
어느 끕끕한 기운이 기를 타고 위로 올라간단 말야. 올라가다가 심장에 압박을 주면 심장의 피가 묽어진단 말야.
그 끕끕한 기운 때문에 그럴 것 아냐. 묽어지면 작용을 못해요. 아시겠어요.
그리고 끕끕한 기운이 입으로 갈 것 같으면 침이 많이 고일거라. 군침이 생겨 메식메식해 토할 것 같다.
그 분이 언쟎다 하면 수습기운이 가서 그런거라. 이놈이 더 올라가면 시신경이 침범되어 어지럽다.
그러나 그 물기를 어떻게 제하느냐하면 반하 복령이 제하는 거라.
현에는 사물탕재료에다 이진탕재료를 넣어야 되는거라.
자음건비탕이 대표약이다. 자음건비탕(上81) 치임사불녕현훈 조잡차심비허겁야 차치기혈허손 유담음 작현지선제
백 진 반 백 당 작 생 인 복 맥 원 천 감 ·기허배삼 3.5전
출 피 하 복 귀 약 건 삼 신 동 지 궁 초 두풍가천마 방풍 현삼
하 자한가계지 황기
1.5전 1전 7분 5분 2분
또 복계출감탕을 쓴다고 그러데. 어찔하고 별안간 어지러우면! 령계출감탕증상이라고 그러잖아.
령계출감탕에는 당귀 그림자도 안붙어있는데 그러니까 우리가 약성검토를 해봐야 그 작용을 알 수 있단 말이야.
어지럽다하면 그 원리만 알면 돼.
그 사람이 소화가 안된다 하면 소화제를 넣어주고.
그 사람이 심장이 약하면 귀비탕이나 온담탕이나 약에다 써야지요.
어딘가 보면 어지러움에 택사탕이라 해서 백출 택사만 해서 사용한다고 하데.
그러니까 수독에 의해서 '어지럼'이 오는거라고 보시면 된다.
★ 桔梗, 枳殼은 桔梗枳殼湯이라는 약이 있죠? 桔梗枳殼湯은 胸비에 가슴이 답답한 데 쓴다.
그래서 가슴이 답답해요 하면 의례 桔梗 枳殼을 넣거든. 桔梗枳殼湯(中134) 治비氣 胸滿不利 煩悶欲死
桔 枳 甘 薑 不倫寒熱通用 又治傷寒結胸
梗 殼 草 五
各2錢 1錢 片
桔梗이란 약은 肺의 약이죠. 위로 올라가는 약이다.
肺가 五臟중에 제일 위에 있는 장기이니까 桔梗은 위로 上升하는 약이라 본다.
그러니까 목구멍에도 桔梗 가슴에도 桔梗!
枳殼이란 약은 내리는 약이고 뚫는 약이고 기운을 破氣시켜서 헤치는 약인데
枳實은 쓴맛이 많아서 아래로 下氣를 많이 시키고
枳殼은 쓴맛보다는 芳香性이 있어요.
그래서 枳殼 많이 들어가면 橘皮 쓴 것 같아요. 화한 맛이 나죠. 그 바람에 가로 퍼져요.
그러니까 지각은 흉협부에 작용하고 지실은 위장에서 장으로 작용한다고 봐야 돼요.
지각이 가슴에 가서 작용을 해서 시원하게 한단 말야. 그래서 관흉한다. 가슴을 시원하게 해준다.
○ 이오당귀용회
이오당귀용회 귀가 울리면 신·간장의 열독으로 인하는 것 같아요.
○ 비색방풍형개
비색방풍형개 코가 막히는 것은 바람으로 막힌다.
○ 구창황련 이통승마
입이 헐면 황련을 쓴다고 그랬는데 대개 황백을 쓰데. 그런데 황련이 더 좋을거라.
입이 허는 것은 어딘가 신장관계도 있겠지만 심장화로 많이 헌단말야. 그러니까 황련을 넣은거라.
승마는 승마갈근탕에서 위열을 친다고 봐야할텐데 귀가 아픈데 형개연교탕(中126)이라는 것이 있어요.
형개연교탕(中126) 치양이종통 유신경유풍열
형 연 방 당 천 백 시 지 황 치 백 길 감
개 교 풍 귀 궁 작 호 각 금 자 지 경 초
各7分 5分
거기 보면 승마가 나와있어요(?).. 그래서 승마는 이에도 위에도 쓰죠.
○ 안질종통 대황형개 운예혼암 백질숙하
안질에 붓고 아플 때에는 대황같은 하제를 쓰고 형개같은 치풍하는 약을 쓴다.
눈에 뭐가 가려. 혼암할 때는 백질여같은 찌져베기는 약을 쓰고 숙지황같이 보음하는 약을 쓴다.
눈으로 보는 정력은 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신에서 오고 열이 나가지고 눈병이 나는 것은 간장에서 오는거고.
그것도 안근에 고장이 오는 것은 비장에서 오는 걸로 보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종하고 통할 때는 대황을 쓴다고 그랬는데 어떤 사람은 안질 환자가 보면
무조건 하제를 먹이고 다른 약을 먹인데 하제는 뭘 줍니까 하니까. 황금 대황을 먹인데.
어딘가 간장 흉복의 열독을 내리고 나서 치풍을 한다는 얘기인 것 같아요.
그래서 여기보면 대황도 쓸 수 있는 약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있어요.
그러나 안질 자체에 대황을 쓰는 것은 아니겠죠. 형개는 원래 치풍하는 약이니까. 쓴다고 볼 수 있고요.
눈이 뭐가 끼여서 침침하게 안보일 때 백질여 숙하을 쓴다고 했는데 白질여 보셨어요?
꼭 메밀모양 모가 졌어요. 그런데 모진 곳마다 뿔이 돋혀 있어요. 가시가 얼마나 억센지.
잘못하다가는 손에 쥐고 갈 수가 없어요.
그 놈을 빻아서 넣으면 모르지만 그냥은 달여 먹기가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그 놈은 굴러도 안가고 서로 거칠어서 찔리고 그래요. 그런데 그 가시가 강해요.
그러니까 눈에 가서 걸린거 뿌옇게 가린 것을 백질여가 다 찣어 내는 것 아닌가.
목적이란 약이 눈병에 쓴다고 그러잖아요. 목적으로 나무에 대고 긁으면 긁힌다고.
나무뿐만 아니라 쇠도 벳겨져요. 그러니까 목적이라는 것은 베끼는 거야.
그래서 눈병에 쓰는거지 달리 그러는 거야. 목적으로 베끼고 白질여로 찢어내면 될 것 아냐? 약이란 것이 묘하죠?
그러니까 천산갑 같은 것 젖구멍이 막힌 것에 쓰잖아! 글자그대로 산도 뚫는다 하니까 천산 갑아냐?
젖구멍이 막혀서 젖이 안나갈 때 아 산도 뚫는 놈인데 젖구멍 정도 뚫는게 문제야.
또 종기가 나서 퉁퉁 부었을 때 연교 조각자 넣잖아.
조각자를 넣어야 그 가시가 냅다 들어가서 구석구석 뚫어주는거지 녹용을 왜 쓰는줄 알어?
그놈이 뿔에 가서 또 뿔이 났어요. 그랬으니까 그놈이 가지를 벗어서 잘 갈 수 있다 그렇잖아.
다른 동물은 뿔이 없는데 뿔이 있고 뿔에가서 피가 있다.
피가 가는데 거기에 또 가지가 있고 피가 간다.
그러면 얼마나 피가 왕성하면 머리 위 그위 가지의 뿔까지 피가 들어가느냐?
녹용을 먹이면 피가 잘 돈다고 녹용을 먹는 것 아냐? 달리 먹는 겁니까?
그러니까 白질藜는 눈에 뭔가 낀 것을 벗겨주는 작용을 하고 숙지황은 정력을 보충하여 침침한 것을 낫게 해준다.
눈가리는 것은 白질여를 쓰고 어두운 데는 숙지황을 쓰면 되십니다.
○ 인종후통 길경감초 부종유암 진피사향
목구멍이 붓고 목구멍이 아프고 그럴 때는 길경 감초를 쓴다. 인후는 함께 얘기한다.
길경 감초는 의례 목구멍 아픈데 쓰니까.
젖속에 덩어리가 생겨 그러면 진피 사향을 쓴다.
젖이라는 데가 기가 제일 안통하니까 사향을 쓰라는 거죠 그렇죠?
내몸 전체에서 기가 제일 안 통하는 데가 어깨하고 볼기야 그러니 견비통하고 좌골신경통이 잘 납디까?
신경통 중에도 가장 어려운 병이다.
그리고 견비통 좌골신경통이 안걸리는 사람이 거의 없어요.
어깨와 볼기는 몸에 있는데도
그런데 여자 젖을 보면 몸에서 따로 되어서 늘어져 있는데 거기까지 기가 통하기 힘들 거예요. 그렇게 봐야겠지.
그러니까 젖에 가서 멍우리가 생기면 큰일나는 거죠.
여자는 젖이 생명인데 그러나 십육미 유기음을 많이 쓰지. 글자그대로 기를 흘려주는 16가지 약이다라는 얘기다.
그러니까 젖은 특별히 기순환을 잘 시켜야 된다는 얘기입니다.
십육미유기음(中140) 치니암 가청피일전 전복
소 인 황 당 천 관 후 백 방 오 빈 백 지 목 감 길
엽 삼 기 귀 궁 계 박 지 풍 약 랑 작 각 향 초 경
각1전 5분 3분
청피는 3전 정도 더 증량하여 쓰면 호
○ 심위통자 치자초용 지절환자 강활생용
심위는 명치를 말하는 것이겠죠. 명치가 아픈 데는 치자를 볶아서 써라.
'기타자료 > 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기누설...2 (0) | 2018.08.04 |
---|---|
더위에조은차 (0) | 2018.07.28 |
[스크랩] 맹화섭의 본초학(김홍경선생님의 스승) 4 (0) | 2018.07.25 |
[스크랩] 맹화섭의 본초학(김홍경선생님의 스승) 3 (0) | 2018.07.25 |
[스크랩] 맹화섭의 본초학(김홍경선생님의 스승) 1 (0) | 2018.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