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작물/ㄹ,ㅁ,ㅂ

[스크랩] ● 만성 소화불량. 만성위염. 위궤양과 민들레(포공영. 蒲公英

고향뜨락 2018. 7. 14. 07:50
 
만성 소화불량. 만성위염. 위궤양과 민들레(포공영. 蒲公英)
 
길거리에 피어 있는 예쁜 민들레. 이 또한 한약으로 사용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한의사들이 포공영(蒲公英)이라 부르는 이 식물은 의외로 활용도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민들레(포공영. 蒲公英)의 효능
 
 맛은 약간 쓰지만 성질은 무난하면서도 차가운 편입니다. ()로 인하여 부인의 유방에 농()이 생겼을 때 찧어서 붙이거나 먹기도 합니다. 또한 열()로 인하여 피부에 옹저(癰疽:부스럼)나 여드름 등의 뭉친 것이 생겼을 때 이를 풀어주는 용도로 사용합니다하지만 이 약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효능은 바로 ()로 인하여 생긴 식독(食毒)을 제거해준다는데 있습니다. 열로 인하여 생긴 식독?’ 무슨 말인가 의아해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는 바로 위염. 위궤양. 식도염 등의 옛날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위염이나 위궤양이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위벽의 피부에 생채기가 나고 헐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공개되어 있는 위궤양의 여러 위내시경 사진을 보면, 이는 피부에 생기는 피부염의 형태와 매우 비슷합니다.
 
 , 포공영(蒲公英)은 열()로 인하여 유방과 피부에 생긴 염증(. 옹저)만을 치료하는데 응용되는 것뿐 아니라 음식물의 소화. 흡수 과정 중에 발생한 위장의 피부염’(위염. 위궤양 등)에 사용해 왔던 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민들레(포공영. 蒲公英) 사용 시의 주의할 점
 
 첫째, 식도염.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질환 상당수가 몸이 냉해서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따뜻하게 덥히면서 치료를 해야 하는 이런 분들이 포공영(蒲公英)을 아무렇게나 복용하신다면 위장병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둘째, 우리 몸의 오장(,심장,비장,위장,)은 병이 생기면 각각 열()을 내는데 포공영(蒲公英)은 바로 간열(肝熱)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에 사용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장기의 열()로 인한 증상에 잘못 사용하게 되면 내 몸의 원기(元氣), 즉 생명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전문가인 한의사와 반드시 상담하셔야 합니다.
메모 :